본 연구는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부산지역 혁신학교에 형성되고 있는 문화적 담론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혁신학교의 이론적 담론을 탐색하 고 혁신학교 현장의 담론과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내러티브 연구 방법에 기반에 문제 중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위해 2015년에 혁신학교로 지정되어 현재 운영되고 있 는 부산지역 혁신학교 8개교 중 일반적인 학교 규모와 환경을 지닌 5개교를 선정하여 각 학 교에서 혁신부장, 담임교사 등 전문가 7명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혁신학교의 문화적 담론―자기 활동성 문화 확립, 민주적 운영, 동료성의 회복 ‘친교’의 형성, 차이를 위 한 공간의 재창조, 문화적 학습공동체 형성, 학교분위기 전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혁신학교 현장의 문화적 담론은 학교, 교사, 학생 및 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 다. 반면, 지나친 업무와 행정적 과제 속에서 그동안 상실했던 학교 본래의 모습을 회복하는 것은 혁신학교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cultural discourse formed in innovation school of Busan as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innovation school management. To achieve it, theoretical discourse of innovation school was examined, discourse of innovation school field and present regional condition were investigated and interview of experts was conducted. For the interview of experts, 5 innovation schools of Busan, which had been nominated in 2015 and are currently managed, were selected and 5 experts whose jobs are head of innovation division, etc. in each school were subjects. As a result of research, cultural discourse of innovation school―establishment of self-activity culture, democratic management,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friendship’, creation of space for differences, formation of cultural learning community, conversion of educational atmosphere―could be confirmed. The cultural discourse of innovation school field makes a positive effect on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innovation schools must solve the assignment, recovery of school’s own appearance which has been lost in excessive works and administrative ta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