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만들어진 학교와 만들어진 학생: 고백 실천으로서의 학교프로파일 연구

The Construction of School Identities and Student Subjectivities : A Study of High School Profile as a Confession Practice

  • 128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해 각 학교에 요구되는 학교프로파일은 특정 학교가 학생, 학부 모, 지역사회 그리고 학교 내 교육 프로그램들을 대상화하여 기록하고, 이를 대학에 제출하 는 일종의 문서화 된 고백 실천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Foucault의 고백 논의를 활용하 여 고백 실천의 자아 테크놀로지로서 학교프로파일을 정의하고 학교프로파일에 드러나는 고 백 실천 전략과 이를 통해 구성되는 학교 정체성과 학생 주체의 유형을 검토해 보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64개의 고등학교의 학교프로파일에 대한 양적, 질적 내 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프로파일의 양적 분석은 학교유형에 따 라 학생 특성 서술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학교프로파일의 질적 분석을 통해 확인되는 학교의 고백 실천 전략과 학교 정체성 및 학생 주체의 구성은 크게 ‘자발적 배제를 통해 차 별화하기: 남다른 비교우위를 드러내는 학교와 다재다능한 학생’, ‘경계 넘기를 시도하기: 일 반고의 이미지를 벗어나려는 학교와 뒤질 것 없는 학생’, ‘부여된 정체성에서 조금 나아가 기: 헌신적이고 온정적인 학교와 노력하는 착한 학생’, ‘주어진 현실에 머무르기: 현실주의적 인 학교와 환경의 영향에 갇힌 학생’의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이와 같이 사회적으로 차별적 으로 구성된 학교 정체성과 학생 주체는 대학입시에서 학교프로파일이 고등학교를 등급화 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학교와 학생은 자신에게 부여한/부여된 특권적 또는 부정적 정체성을 강화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 학교프로파일을 단순히 학교 정보를 제 공하는 행정적 기능으로 바라보는 것을 넘어, 학교와 학생 주체를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통 치의 장치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학교 정체성과 학생 주체의 위계적 분류화가 대학 과 고등학교의 서열화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ocially constructed school identities and student subjectivities through high school profile. According to Foucault’s governmentality, high school profile can be defined the technology of the self as a confession practice. School profile includes information about school type, characteristics of student population, parents, community, and educational program. School profile constructs school identities and student subjectivities. School profil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required documents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r university entrance. High schools confess themselves through school profile as a confess practice and school profile is regarded as a ‘truth’ about school and students. To accomplish our aim, we us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bout school profiles of 64 high schools in Busan-city. As a result of quantitative-qualitative analyzing profiles, there were differences of students’ characteristic by school types. School identities and student subjectivities were classified four types: ‘Differentiation through the spontaneous exclusion; the school of uncommon relative advantages and the best student of all-rounder’, ‘Attempt to pass the boundary; the school that makes an effort to escape the General High School image and student that almost reaches to top level’, ‘Moving forward a little bit in assigned identify; a dedicated and compassionate school and student that make steady and persistent effort’, ‘Settle for the present; a realistic school and student that is influenced by environment’. School profile was used as a means of reconstructing identities and subjectivities given to school and students by strengthening the horizontal stratification of high school.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