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발달 과정에 있어서 부모 및 형제와의 친자관계 또는 다른 대인관계가 정신 병리학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널혀 알려진 일이다. 이러한 발달과 정 중에서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파도기 상태얘 놓여 있는 사기 로 자신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신체적 변화를 경험할 뿐만 아니라 주체성 확립이라는 별탈상의 과제를 완수하여야 하고 자신올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적응 함과 동시에 사회적 요구에도 부웅해야 하는 부정기(줌定顧)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아의식과 더불어 일어냐는 독립심의 발로어l 서 주위 가족, 특히 부모와의 관계에 서 일어나는 갈등올 적절히 해소하지 못할 때는 주위 환경과 심한 마찰올 경험하 여 반항적야거나 공격적인 반옹을 보이기도 하고 현실도피나 정신장애를 일으키기 쉽게 된다. 이러한 자녀의 장애증상은 가족체계의 불균형이나 불안정올 반영하는 신호일 뿐만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족의 섬리적 이상과 고통을 경감하고 가 족의 안정과 균형올 유지하려는 노력의 결과로 생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Haley, 1972; Satir, 1967) 이 중 청소년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정신장애의 한 현 상으로 우울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우울은 건강한 사람에 있어서도 일상생활올 통 하여 흔히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인 동시에, 주요 정신질환의 기본 증상으로 표현되 고 있어 일반적인 정서반응이면서 정신의학 분야의 가장 중요한 증상으로 인정되 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adolecsents' depression and the type of KFD. The subjects were 209 college students in Taegu, An-dong, and Pusan city. The adolscents’ depression was measured by BDI(Beck Depression Inventorγ).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half of all subjects were under the state of depression ranging from low level to high level. Second, adolescents' de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he action, style which were depicted by KF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