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은 개인의 생활에서 최초로 접하게 되며 가장 지속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개인의 인성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한 개인을 이해하는데에는 그의 심리상태 뿐 아니라 각 개인이 맺고 있는 가족관계를 총체적, 역동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동의 인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행동관찰이나 언어표현 및 표현매체를 통하여 해부세계를 투사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투사법에는 로르샤하나 주제통각검사와 같은 언어를 매개로 하는 검사와 그림검사법과 같은 비언어적 검사가 있는데 아동은 그림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언어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아동의 경우 그림이라는 매개체는 간접적으로 이들의 정신적인 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때 언어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기(김채은, 1976) 때문이다. 특히 아동은 가족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가족화를 통해 가족구성원에 대한 개인의 행동이나 태도, 감정 등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족내에서 느끼는 정서적 갈등이나 부적응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그린 가족화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pupils’ family perception by KFD test. The administering procedure of the KFD test were used by Burns and Kaufman(l982). The 325 subjects were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Daegu. M. SD. and T-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collected by instru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ctions of drawings. elementary pupils perceived selves but more communicative and cooperative. Three areas of father’s communication. mother’s cooperation and sadism of self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2. In figure characteristics. they have a tendency to perceive themselves and their fathers negatively but to perceive mothers positively According to sexes. degree of completation of body. father\'s face. self \'s foot. expression of self and father s figure. Size of figur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3. In dynamics of drawings. pupils perceived fathers being of superiority. mothers being of affection. 4. In styles of drawings. compartmentalization revealed most percentages. There is no significant in se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