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On How Group Art Therapy Centered on Collaboration Help Children of Low Income Families Improve Social Skills and Human Relationship with Others of the Same Age Group

  • 260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공부방에 나오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또래관계 개선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J시의 ○○공부방에 나오는 저소득층 아동 중에서, 공부방 교사가 선정한 9명의 아동을 대상 으로 하였으며, 연령은 11세~13세이다. 프로그램 진행은 2005년 8월 1일부터 2005년 10월 7일까지 주 3회씩 총 29회에 걸쳐 약 90분씩 ○○공부방 내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종혜(1996)의 또래관계척도, 양창호(1994)가 제작한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또래관계검사와 사회성 검사를 실시한 후 t-tes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또래관계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와 우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처벌주도권, 친밀, 대립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사회성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협동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근면성, 준법성, 자주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는 여러사람이 집단에 참여하게 되므로 하나의 대인관계가 형성되어 개인 치료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잠재적 효과를 거둘 수가 있으며, 이러한 집단의 응집력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어, 협동작업이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 개선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 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understand how group art therapy centered on collaboration helps children of low income family improve relationship with others of the same age group and enhance their social skills. The study subjects are 9 children between age of 11 to 13 from low income families, attending the 000 self-study room in J city. The program lasted from August 1st through October 7th of 2005, total 29 sessions with three times a week and each session lasting 90 minutes in the 000 self-study room. Research tools used for the study are Measurement scale for the same age group relationship (Jonghye Han, 1996), Measurement scale for elementary school kid's social skills (Changho Yang, 1994).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test is adopted for pre- and post-test of the same age group relationship and of social skills. The results based o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aborated group art therapy has been effective children of low income family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kids of the same age. As for subcategories, there has been som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nd friendship, but no difference in punishment initiative, intimacy, and confrontation. Second, the collaborated group art therapy has been effective on children of low income family to improve their social skills. As for subcategori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boration, but no difference in diligence, law-abidingness, and autonom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group art therapy induces some new potential effects that are not obtainable in individual art therapy, but obtainable only through the collaborated activities with other participants of the group. This cohesive power of the group will help the children of low income families to develop social skills, which in turn improves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children of the same age. Key Words : Collaboration Work, Group Art Therapy, Peer Relationship, Social Skill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