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현실요법적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소년원에 수감되어 있는 여자청소년 16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8명씩 배치시켰다 2006년 12윌 22일부터 2007년 4윌 28일까지 주 1회 2 시간씩 18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자존감 검사와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YSR) 중에서 비행척도 검사를 두달 간격으로 사전, 중간, 사후, 추후에 실시하여 그 결과를 HLM(위계적 선형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기간 동안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자아존중감과 비행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비행행동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분석 방법은 치료과정에 따라 개인별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개별상담 및 개인에 따른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즉, 다시점측정을 통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방법은 개인별 집단별로 변화를 관찰하고 추후의 예측을 위하여 좋은 분석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to the self-esteem and delinquency behavior, after the group art therapy based upon reality therapy has been applied to the juvenile delinquents. This study has been made for 16 persons of the female juvenile delinquents who was sele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regulated group. This Program has been executed with 18 times in total as each 2 hours one time in a week for the period of 2006. 12. 22 - 2007. 4. 28, and has investigated the Self-esteem and Delinquency with the interval of every 2 months, and then its result each has been analyzed eventually per HLM, which is as followings.: We came to know the remarkable positive influence to the Self-esteem and delinquency behavior. This analyzing method can help us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 each process of Art Therapy, and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individual discussion and education in the various fields. This means that this analyzing method of HLM through investigating in the various viewpoints shall be the remarkably acceptable way for the investigating the improvement and anticipation each process of the individual and groups. Key Words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Juvenile Delinquents, Group Art Therapy, Self-esteem, Delinquency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