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온누리안) 자녀의 자아 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Onnuurian) Children.

  • 98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교사로부터 사회성이 부족하고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17명의 아동을 보고 받았으며, 참여를 원하는 아동 7명을 실험집단으로 무선 표집한 아동 7명을 통제집단으로 선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과 사후에 Harter(1985)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정범모(1971)의 사회성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만 자발적인 참여, 감정표출, 긍정적인 자아상,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이에, 실험집단 자아존중감 척도의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가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사회성 척도의 협동성, 사교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의 행동이 사전보다 사후에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국제결혼가정 자녀만으로 제한하였으나, 향후에는 일반아동과 함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다면 좀 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search for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i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ol group. The self esteem and social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children.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2 periods of 60-70 minutes for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academic-general self, peer-related self, home self, physical-appearance self, and personality self among the self esteem sub sca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cooperation and sociality of the sociality scale.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children ha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t‘s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7 children who are from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and attends to elementary school in chonbuk.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7, which 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self-esteem and sociality. Key Words :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Children, Group Art Therapy, Self-Esteem, Soci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