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 미술치료에 대한 메타분석

Meta Analysis on the Effects of Art Therapy for Adolescents

  • 180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 결과들을 메타분석방법에 의해 통합하여 효과의 정도를 종합,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석, 박사 학위논문 중 실험설계가 사전-사후 집단 간 설계로 이루어진 논문 41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 본 결과 특수대학원 석사 논문이 20편(48.8%), 2004년 논문이 10편(24.4%),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32편(78.6%), 중학생이 25편(62%), 집단구성원수는 10명이 16편(39%)으로 가장 많았다. 미술치료프로그램 총 시행횟수별로는 12회기를 시행한 논문이 12편(29.3%), 1회기당 시행시간은 90분이 12편(29.3%), 주당 시행횟수별로는 1회가 18편(43.9%), 미술치료 전공자가 19편(46.3%)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63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프로그램 참여 대상에 따른 변인과 미술치료프로그램 진행 방법에 따른 변인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미술치료프로그램 진행 목적에 따른 변인의 효과크기는 자아개념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진행 특성에 따른 변인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1회기당 시행시간, 참여동기별, 진행자의 전공 영역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the method of meat-analysis, to integrate and analyze the data for the effects of adolescent art therapy. To do so, a total of 41 academic theses for Master's and Doctrate degree were collected in the way that the chosen theses must be about adolescents and analytic methods involved in the theses must include pretest, posttest, and comparison between them.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the theses collected shows that there have been 20 Master's theses in graduate school (48.8%), 10 general theses (24.4%), 32 theses (78.6%) about adolescents, 25 theses (62%) about middle school students, and 16 theses (39%) about group therapy with over 10 group members. As to the number of sessions, 12 theses (29,3%) are performed with 12 sessions; 12 theses (29.3%) have 90 minutes per session; 18 theses (43.9%) have one session a week, and 19 theses (46.3%) are written by art therapy majored writers. Second, The average effect size as a whole is 0.63. Third,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art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and in therapeutic methods. Fourth, as to the factors toward the purpose of art therapy, the effect size for ego-concept show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Key Words : Meta-Analysis, Adolescent Art Therapy, Effect Siz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