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의 풍경구성기법(LMT) 반응특성 연구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Montage Technique(LM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43

본 연구는 성별과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풍경구성기법 반응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도내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부터 6학년에 이르는 초등학생 431명이며, 풍경구성기법 검사는 미술치료학과 박사수료생 1인이 2009년 6월 3일부터 7월 3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검사 소요시간은 40~50분이었다. 풍경구성기법의 채점지표는 구성지표 4개와 색채지표 5개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요소의 생략, 소묘선의 질, 색의 수이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요소의 생략이 많고, 색의 수가 적고, 소묘선의 질이 안정적인 선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통합성, 요소의 생략, 공간사용, 형태의 사실성, 채색의 정도, 요소채색의 적절성, 채색의 안정성, 소묘선의 질, 색의 수 등 9개 지표이다. 즉 1학년은 10개 요소 모두 통합된 경우가 100.0%로 다른 학년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1․2학년이 3학년 이상보다 요소의 생략이 많고, 공간 사용을 더 많이 하고, 채색의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색의 수가 감소하고 요소와 배경을 색칠한 비율이 높고, 형태의 사실성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1학년이 요소채색의 적절성이 가장 높은 반면, 3학년이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고, 소묘선의 질에서는 1․2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안정적인 선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LM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e gender and the grade. The study subject is 431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the graders of 1st and 6th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Jeju. For them, the LMT is carried out, by one researcher who completed Ph.D. course in Dept. of Art Therapy, for about 50 minutes per session from June 3, 2009 to July 3, 2009. The scoring index are made up of 4 composition indexes and 5 coloring indexes. For the research materials, crosstabulation analysis i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omission of elements, the quality of drawing line, the number of colors tha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gender. It is shown that girl students\' LMT pictures have more omission of elements, fewer colors, more stable drawing line than boy students\' LMT pictures. Secondly, it is the variables of the nine indexes such as the uniformity, the omission of elements, the use of space, the actuality of the form, the degree of coloring, the suitableness of element coloring, the stability of coloring, the quality of drawing line, the number of colors tha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grader. The 1st graders show 100% unified case of the ten elements, which is most highest degree of all graders. The 1st and 2nd graders show more omission of elements, more spacial use, higher stability of coloring than 3rd graders and above. The 1st and 3rd graders show low ratio of the actuality of the form in comparison with the ratio of the other graders. Generally, the higher the grades are, the fewer the number of the colors are, and the higher the ratio of coloring the elements and the background is. The 1st graders show highest suitability of element coloring, on the other hand, the 3rd graders show lowest. And it is shown that 1st and 2nd graders show high stability of drawing line in comparison with other graders. Key Words : Landscape Montage Technique, Reac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