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만다라를 통한 감사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Gratitude Program by Mandala

  • 154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들의 보다 행복한 심리적 성장을 위하여 상담 교육적 관점에서 만다라를 통한 감사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구성은 감사의 개념, 감사의 과정, 발달단계, 감사교육을 정리하고, 기존의 감사 관련 프로그램인 동사섭의 수심부분, 감사의 힘, 나이칸 상담의 내용들을 비교하였다. 감사의 발달은 감사에 대한 발달 모형이 없어 체계적으로 연구가 된 사회인지 발달론적 입장과 영적발달단계, 변화이론과 연결하였다. 감사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서는 누구나 쉽게 그리고 표현할 수 있으며, 시각적 효과성을 가지면서 스스로 통찰, 조절, 준비, 자각을 할 수 있게 하는 만다라를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본 프로그램은 감사와 만다라의 이론적 토대를 중심으로 준비되었다. 프로그램은 예비실험 결과를 통해 보완점을 수정하여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C시의 성인 24명을 실험집단(12명)과 처치하지 않은 통제집단(12명)에게 감사성향, 자존감, 대인관계, 우울 척도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감사성향, 자존감, 대인관계는 향상되었으나, 우울은 척도상의 수치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왔으나 내용상의 이해를 통해 긍정적 변화의 과정으로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만다라를 통한 감사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성장에 효과가 있다고 보여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보다 행복한 심리적 성장을 위해 적용되기에 합당하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th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by the gratitude program by Mandala is verified for the happy and psychological improvement for Korean adults on the view of the counselling education. At first, the contents of program contain the definition of the gratitude, the process of gratitude,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an education of gratitude, and the program is compare to the part concerning of Susim of Dongsasub, the power of gratitude and Naikan Counselling which are related to gratitude program. The development of gratitude is connected with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spiritual development and theory of change because there is no the model of developmental gratitude. This is all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ratitude and Mandala. Moreover, the implementation of gratitude program is connected with Mandala so that everyone can express mandala easily. It also has visionary effects and helps them perceive, control, prepare and be awake. As you see, this program is prepar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liminary experiment was implemented for the practical use. After the effect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had been verified, it started. To verify the effect on the program, an education for gratitude by mandala was practi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2 adults and the comparative group, 12 adults who live in C city. Their tendency of gratitude, self-esteem, relationship, and depression were checked and they were compared between them. It is founded that tendency of gratitude, self-esteem and relationship have been improved, but this program is not effective on depression. However, the part of depression is considered as the positive process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hat is why it has a good effect on depression. As above, the gratitude program by Mandala helps Korean adults improve the happy and psychology on the view of the counselling education. Key Words : Mandala, Education f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