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가정폭력에 노출된 전두엽 증후군 청소년의 관리기능 강화 및 우울감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the Reinforcement of Executive-function and Reduction of Depression on the Adolescent boy with Frontal Lobe Syndrome and Family Violence -Using Kim's Frontal-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 232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가정폭력에 노출된 전두엽 증후군을 갖고 있는 청소년의 관리기능 강화와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시에 위치한 OO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이며 알코올 중독인 부친으로부터 언어적․신체적 폭력을 받은 경험이 있고, 부친으로부터 모친이 폭력 당하는 모습을 목격한 경험도 있다. 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M상담센터에서 2009년 5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격주로 1회기에 50분씩 10개월간에 걸쳐 22회기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Rey-Kim), 청소년 성격평가 검사(PAI-A), 그림검사(KFD)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가정폭력에 노출된 전두엽 증후군을 갖고 있는 청소년의 회기별 변화에 효과가 있었고 둘째, 미술치료 이후 전두엽 관리기능 점수는 61에서 109로 관리기능이 강화된 변화를 보였으며 셋째, 미술치료 이후 청소년 성격평가 검사에서는 81에서 64로 우울감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치료는 가정폭력에 노출된 전두엽 증후군인 청소년의 관리기능 강화와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는 개입임을 보여준다. 또한 전두엽 관리기능을 연관시켜 신경심리검사를 통해 미술치료와의 상관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icacy of art therapy for the reinforcement of executive-function and reduction of depression on the adolescent boy with frontal lobe syndrome and family viole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third grade student of OO middle school in Y city, and has suffered from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by his alcoholic father, and has witnessed the father's beating his mother. He participated in this art therapy program for 50 minutes per each session once every week from May, 2005 to February, 2010. K-WISC-Ⅲ, Kim's Frontal-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PAI-A, KFD were used for the pre-and-post test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showed some effects on the change of the adolescent boy with frontal lobe syndrome and family violence in each session. Second, after finishing the art therapy, the score of Kim's Frontal-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has increased from 61 to 109 of executive-function. Third, after finishing the art therapy, PAI-A's depression score has decreased from 81 to 64.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art therapy is effective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frontal lobe syndrome and family violence. Also, using Kim's Frontal-Executive Neuropsychological test, it suggests that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art therapy and frontal lobe's executive function. Key Words : Family Violence, Frontal Lobe Syndrome, Executive-Function, Depress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