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웃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방과 후 보육교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 사회적 지지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on the Stress-Coping Ability, Social Support and Life-Satisfaction Level of Children in After-School-Daycare Programs

  • 139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보육교실 아동을 대상으로 웃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사회적 지지 수준을 높이고,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세 곳의 방과 후 보육교실 아동 32명이다. 이들을 각각 웃 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집단(실험집단, 11명), 집단미술치료집단(비교집단, 11명), 통제집단(10명)으로 임의 배정하여 처치집단의 아동들에게는 주 2회 총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방과 후 보육교실 아동의 스트 레스 대처능력,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가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사전, 사후, 추 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AS 9.1.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웃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는 방과 후 보육교실 아동의 스트 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웃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는 방과 후 보육교 실 아동의 사회적 지지 증진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웃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가 더 높았다. 셋째, 웃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는 방과 후 보육교실 아동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효과적 이었으며, 특히 웃음활동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가 더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if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could positively affect the stress-coping ability, social support, and life-satisfaction level of children in after-school-daycare programs. Thirty-two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11 children) which received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the comparison group (11 children) which received group art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10 children) which received no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received treatment respectively, twice a week which made a total of sixteen sessions. In order to identify the procedual change in the children's stress-coping ability, social support, life-satisfaction,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is conducted and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repeated measurement of two-way ANOVA by SAS 9.1.3.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stress-coping ability of children in after-school-daycare programs. Second, both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and group art therapy were effective in social support of children in after-school-daycare programs. Especially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proved more effective. Third, both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and group art therapy were effective in life-satisfaction of children in after-school-daycare programs. Especially group art therapy with laughing activities proved more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