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문화적응스트레스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결혼이주여성 33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각 11명씩 무선 배치하였고||| 베트남 자조모임 11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콜라 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2회기로 회기 당 12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고||| 프 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 검사와 빗속의 사람그림 검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빗속의 사람그림 검사 에서 스트레스 감소와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하위영역에 감소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관련 임상현장에서 활 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법임이 확인되었고||| 다문화상담 및 심리치료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how collage group art therapy affects on decrease of acculturation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Study subjects are 33 married migrant women: a control group of 11 and an experiment group of 11 which are randomly assigned and a comparative group of 11 women from Vietnamese self-help organiza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0 times of collage group art therapy sessions developed by Yang and Lee||| 2 times a week||| 120 minutes for each session.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changes in acculturative stress scale and PITR(Person-In-The-Rain)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FIrst||| collage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e in acculturation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Second||| collage group art therapy resulted in decrease of stress and improvement in stress coping ability with the PITR results. Third||| collage group art therapy showed decrease in subordinate domains of acculturation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llage group art therapy is an effective and applicable approach in clinical settings concerned with married migrant women and implies applicability in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