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우울과 자살 생각 고위험군 여고생을 위한 인형 만들기 중심의 미술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rt therapy employing doll making for a female high school student at high risk for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 222

본 연구는 인형 만들기를 중심으로 하는 미술치료가 여고생의 우울 및 자살 생각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우울과 자살 생각 고위험군으로 판정된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이다. 인 형 만들기 중심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3년 4월 16일~7월 16일까지 주 1회,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3개월 뒤에 추후 상담을 실시하였다. 측정 도구는 우울검사(BDI), 자살 생각검사(SSI), KHTP, KFD를 사전과 사후에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미술치료 실시 전?후의 우울과 자살 생각 질문지 검사 점수의 변화, KHTP와 KFD 그림 검사의 내용 분석, 회기 과정 중 내담자의 언어, 생각 표현 내용을 분석하여 우울과 자살 생각의 변화 내 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지 검사 결과 우울과 자살 생각 점수가 감소되었다. 둘째, KHTP와 KFD 그림검사 내용에서 우울과 자살 생각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회기 과정 에서 나타난 언어, 생각 표현 등에서 우울과 자살 생각 감소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으로 인형 만들기를 중심으로 하는 미술치료는 여고생의 우울과 자살 생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rt therapy employing doll making on reducing the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in a female high school student. The study participant was a second year female high school student diagnosed at high risk for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The art therapy employing doll making ran a total of 12 sessions from April 16 to July 16, 2013, once a week. Three months after the end of the therapy program, a follow-up counseling session was held. The instruments included the BDI, SSI, KHTP and KFD, all of which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comparing the scores on the BDI and SSI before the therapy program and after the therapy program. In addition, the drawings from the KHTP and KFD test and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thoughts observed during the program were analyz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DI and SSI scores showed an reduction in the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scores. Second, the KHTP and KFD finding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in the participant. Third,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thoughts observed during the sessions showed an reduction in her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employing doll making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in the particip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