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경계선 성격장애 미혼여성의 정서조절과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Integrative Arts Therapy to Improve th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married Woma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369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미혼여성의 정서조절과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 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경계선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32세 미 혼 여성으로, S시 H심리상담센터에서 2013년 9월 12일부터 2013년 12월 13일까지 주 2회 60~90분씩 총 24회기 의 통합예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사전면접으로 임상심리전문가에 의해 경계선 성격장애를 진단하는 DSM-IV-TR 및 PAI-BOR검사를 실시하여 임상적 처치를 요하는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연구도구 및 결과 분석을 위하여 정 서조절곤란척도(K-DERS)검사와 대인관계척도(RCS)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매 회기 녹음 및 관찰 내용을 기록하여 증상차원들의 질 적 변화 정도를 회기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술치료가 경계선 성격 장애 미혼여성의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예술치료가 경계선 성격장애 미혼여성의 대인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장애로 진 단받은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정서조절과 대인관계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경계선 성격장 애 미혼여성을 위한 경험적 사례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married woman with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is study had carried on the program to unmarried women 32 old years with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t 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enter in S city, total 24 times, 60-90mins each program, twice per a week on 12th September-13th December 2013. For the study result analysis, the test subjects had done two test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K-DERS)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change rates of them were analyzed in quantitative method. Plus, each times had been recorded and analyzed on the qualitative change of symptom too. This study has resulted as follows: First, integrative arts therapy is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 regulation of unmarried woman with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econd, integrative arts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married woman with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is study suggests the basis of th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effects on the unmarried woman who has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s well as is meaningful to make the experiential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