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시설보호아동의 분노조절능력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아동보호시설의 초등학교 1,2학년 5명 이었으며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주 1회, 총 8회 기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분노조절능력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비모수검증인 Wilcoxon 부 호 순위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로 사전, 사후 KHTP 비교와 회기분석을 하여 시설보호아동의 분노 가 감소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보호 아동들은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분노조절 능력이 평균 6.80점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다(z=-2.02, p<.05). 둘째, 미술치료프로그램은 시설보호아동의 사전 동적 집 나무 사람 그림과 사후 동적 집 나 무 사람 그림을 비교해 볼 때 분노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의 회기별 분 석에서 시설보호 아동은 초기에 보이던 언어적 공격성과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일방적인 태도에서 후기로 갈 수록 심리적 안정과 함께 짜증도 사라졌으며 분노 적 표현이 줄어들었다.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시 설 보호 아동들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group art therapy program influenced Institutionalized Children's anger control. The subjects were five elementary students (first and second graders) from C city an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for 8 sessions. Anger control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SPSS Win 21.0 and Wilcoxon Matched-pairs Singled-ranks test were used for analysis. And before-after KHTP comparing and session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find out if the conducted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subject's ang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ng revealed average 6.80 difference, meaning statistically the children's betterment in anger control(z=-2.02, p<.05). Second, their drawing kinetic house, tree, person showed noticeable difference from the ones they drew beforehand. Third, the children displayed less linguistic aggression and showed better emotional stability. Therefor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anger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