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 특성연구: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University Student’s Ego-Resilience and Their Favorite Kind of Weather(FKW) Drawings: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City Area

  • 84

본 연구의 목적은 남, 여 대학생 434명을 대상으로 ‘좋아하는 날씨(FKW)’그림 반응특성에 따라 성별과 학년 에 따른 자아탄력성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진단하는 도구로서 FKW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FKW와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t검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는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대인관 계, 분노에서 남학생의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FKW그림 반응특성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형식요인의 채색, 채색 에너지, 채색 안정성, 공간사용, 세 부묘사, 색 사용수와 내용요인의 바람, 움직임,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분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FKW그림의 반응특성 차이가 있었다. 즉 자아탄력 성 수준에 따라 내용요인에서는 비, 해, 사람과 색상요인에서는 파랑, 검정색상 표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 이상의 결과에서 FKW는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진단하는 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go-resilience acccording gender and grade level using a sample of 423 university student. ‘Favorite Kind of Weather(FKW)’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a tool to determine the level of ego resilience. The results of t-tests and cross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y gender among the sub-factors showed that the ego-resilience level of males was high in the confidence, relationships, and anger factors.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form factors such as coloring, coloring energy, color stability, use of space, detail description and the number of colors used, and content factors such as wind, movement, and orange, yellow, green, blue, purple and pink color.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 such as rain, sun and people and in colors such as blue and dark colors, depending on factors ego resilience levels. The result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using FKW as a tool to determin the ego-resilienc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