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으로 무선 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고 실험집단에게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주 1회 90분씩 총 14회기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토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18.0을 활용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 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아통합감 전체와 자아통합감의 하위영역인 현재생활에 대한 만족과 죽음에 대한 수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과 노령에 대한 수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만다라 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에게 자아존중감을 갖게 하며 과거 기억들을 조화와 균형을 이루게 하여 자아 를 통합하고 성공적인 노화로 이르는데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for older people to find ego integrity and balanced emotional stabilit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 older adults chosen randomly from an adult day care center and thes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e mandala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4 times in total, one 90 -minute session per week. This study used the self-esteem scale and the ego integrity scale as pre and post-test assessment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WIN 18.0 statistical program and a non 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was executed to investigate whether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Firstly,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Secondly,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whole ego integrity value, specifically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death as low factors of ego integrity. On the other hand,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did not showe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of the past or in the aging process. In conclusion, group art therapy using mandala had a statisticall positive impact on elderly people’s self-esteem, successful aging, and self integrity by harmonizing past and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