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현실치료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ality Therapy in the Group Art Therapy: Stress Repelling Ability of Alcoholic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 540

본 연구는 현실치료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알코올중독자들의 스트레스대처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위험 음주상황에서 금주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금주자기효능감을 증진하여 단주의지와 재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S알코올전문병원에서 DSM-5에 의거하여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알코올사용장 애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중인 약 120여명의 환자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 총 25명을 무작위 선별 후 실험군 13명과 비교군 12명으로 나누어 시작하였으나 조기 퇴원과 잦은 외박과 외출로 출석률이 낮아 중도 탈 락한 경우를 제외한 등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 10명씩으로 연구를 마무리 할 수 있었다. 집단미술치료프 로그램은 스트레스대처능력과 금주자기효능감의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였으며, 2015년 6월~7월까지 매회 50분씩, 총12회기를 진행하였다. 알코올중독자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힘을 알아보기 위하여 Folkman&Lazarus(1984)에 의해 개발되어 Kim. J.(1988)와 Jung, Y.(2004)에 의해 요인분석과 수정?보완된 스트 레스대처능력 척도와 함께 DiClemente(1991)에 의해 고안되어 Kim, S. J.(1996)에 의해 수정?번안된 금주자기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현실치료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금 주자기효능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지역의 알코올중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현실치료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self-efficacy of alcoholics through a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over a short period and improve stress repelling ability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to help maintain sobriety during at-risk drinking periods. Among the initial group of 120 patients with an alcohol use disorder in G city, 25 randomize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irteen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therapy program; the other 12 patients did not, serving as the study’s control group. Several dimensions existed in the approach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The techniques developed by Folkman & Lazarus(1984) were implemented in this study, along side factor analysis designed by DiClemente(1991). Furthermore, these applied techniques and tables were modified and adapted by Kim, J.(1988) and Jung Y.(2004). The metrics for self-efficacy were modified by Kim, S. J.(1996). As a resul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ress-repelling ability of alcoholics and participants’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Because the study was conducted in one specific location,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lity therapy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for alcohol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