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문화와 미술교육 평가:교육 평가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해석

The Culture of Schooling and Evaluation in Art Education:the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 150

교육은 순수한 지식의 전달이 아닌, 복합적인 사회적 현상 가운데 하나이다. 평가 또한 사회?문화적 함의를 포함하는 것으로, 황정규(2000)는 객관적 측정은 평가라 칭할 수 없다고 단언한다. 즉 평가는 가치판단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측정은 평가를 위한 하나의 도구이지 그 본질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미술교육평가의 문제 또한 평가방법이나 형식 자체에 관한 것이기 보다는, 학교 교육 안에서 평가의 본질과 미술교육의 위치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교육학적 입장에서 교육을 통한 사회화, 학교 문화를 통한 가치의 재생산, 미술교육 평가의 본질과 의미 등을 논의하고자 한다. 평가에 대한 도구주의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측면에서 미술교육 평가를 조명함으로써, 다각적인 측면에서 평가의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In comparison with curriculum studies, teaching?learning methods or art program development, evaluation is one of the areas that have been left unexamined in the art educational field. The emphasis on sensitivity, originality, diversity and creativity often leads us to regard evaluation as hinderance. Not only does this attitude prevent us from being equipped with fully developed evaluation systems and methods, but also it puts us in lack of the appropriate language needed to develop the full range of discourse on evalua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roversial issue of evaluation in art education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It purports to generate the conceptual framework that helps us to communicate about this current issue from multi-faceted approaches and to initiate the discourse on the alternatives of evaluation in education. In this respect, the concept of ‘habitus’ by Pierr Bourdieur is used to expla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through schooling and evaluation. In addition, four features of curriculum -explicit curriculum, implicit curriculum, null curriculum, and curriculum shadow- are examined in a way of locating art in the context of schooling. Based on this cultural understanding of schooling, this study discusses the dilemma of evaluation in art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 as a school subject.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textual perspective and critical self-reflection are significant in order to search the alternatives of evaluation that would transform the distorted culture of schooling in our societ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