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 프로젝트 학습 모형과 프로세스 폴리오 (process -folio) 실행을 통한 시각문화교육 - 초등교사교육에의 적용 -
Teaching Public Art through a Project Learning Model and Process-foliOS: Visual Culture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최근 국내에서는 미술계와 더불어 지역 자치 단체들이 대규모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붐을 일으키고 있으며 공공미술 및 공공디자인의 현황과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공공미술에 관한 한 연구(강수미, 2008) 에 의하면, 우리 나라 에서 공공미술은 1982년에 ‘건축물 미술장식제도’의 도입과 함께 ‘환경조각’이나 ‘환경 조형불’이란 명칭으로 불리어 오다가 이 제도의 개선방향을 논의하기 시작한 1990년 대 후반부터 ‘공공미술’이라는 광의의 개념이 통용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환경조각 을 좁은 의미의 공공미술이라고 본다면 미술계에 종사해 온 사람들에게 공공미술은 그다지 새로운 개념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공공미술이 점차 공공 장소에 설치된 환 경조각을 넘어서 낙서화(graffiti) , 공사장 가림막, 거리 가구(street fumiture), 조명과 같은 다양한 인공 환경을 포함하게 됨에 따라 넓은 개념의 공공미술을 미술교육에 활 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a project learning model and process-folios on public art that the researcher have implemented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during the 2007 Spring semester through the 2008 Spring semester. Two public art project learning cases based on this model has been designed to enab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realize the value of teaching public art from the perspectives of visual culture education. The project learning encourages the preservice teachers to integrate art into their everyday lives. The project learning model consists of the following stages: 1) Planning stage consisting of understanding task and grouping; 2) Implementation stage consisting of lense-making, perception, critical reading, contextual research, and art-making; 3) Evaluation stage consisting of reflection and in-class presentati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folios and the outcomes of the project learning show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become aware of art existing in their everyday lives and that public art can be one of effective means to encourage students to understand art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