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시각문화 읽기를 통한 창의·인성 교육

A Study on Reading Visual Culture Imag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184

학교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현대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국가적 인재상으로 올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구비한 창의적인 사람을 제시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창의성과 인성은 대치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 창의적인 사람은 조직과 어울리지 못하는 일탈적인 천재로 보는 낭만주의적 관점이 우세하였다. 따라서 도덕성과 인간관계의 덕목을 강조하는 인성교육과 함께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대 사회의 다양한 분야의 창의적인 성취는 고립보다는 타 분야와의 연계 및 융합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개인적 인지, 성향, 동기가 중요하지만 동시에 활동하는 분야와 사람들의 관계속에서 성취를 이룰 수 있다. 아이디어에서 성과까지 혼자만의 힘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대화와 상호교섭을 기초로 교육과 사회· 문화의 역동적 체계 내에서 창의적 성취는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visual culture images using a strategy of emotional writing with personal analog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and result of utilizing personal analogy for ways of encouraging imagination of viewers and connection with their experience. Based on the concept of a whole human being with aesthetic sensitivity in 2009 National Art Curriculum, the author suggests the need for critical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 Design of curriculum development is suggested for creative thinking by using clustering, imagination, and visualization in context of divergent thinking of individuals. Then viewers need to write by starting with 'I am- '. The process of writing 'I am- ' requires careful observation, visual literacy of images by reading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texts. By sharing writing their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 images, students can identify beliefs, knowledge, and emotions that affect their identity. As art educators, we need to emphasize the value of visual perception and visual literacy as a way of facilitating social concerns and personal experiences. Discussion could lead insightful reflection of self and others for social justice, multicultural issues, and critical thinking as we live in visual culture environment. Aesthetic sensitivity in art education can be related to students' everyday life and construction of identity by critical analysis of images in personal and socio-cultural contex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