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미술교육내용은 근대시기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라는 식민지기가 근대시기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대한 연구가 활 발하게 이루어지기에는 여러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근대 초등미 술교육에 관한 연구(김향미, 1996; 박휘락, 1998, 장동호, 2003; 심영옥, 2006)는 그간 많은 성과가 있었다고 본다. 이에 비해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진 당시의 도화교육에 관 한 내용과 그 성과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중등학교 도화시간에는 자재화와 용기화가 교육되었는데, 특히 용기화(用器畵)는 근 대 산업화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교육이었다. 용기화는 “제도기를 써 서 물체를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그리는 그림”으로 주로 토목·건축·기계 등의 설계 에 쓰이며, 제도기계를 써서 물체를 점이나 선으로 나타내는 기하학적 도형으로 나타 나게 된다(이기문, 2003, p. 1760). 또한 미술교육에 있어서는 자재화(自在畵)에 반대되 는 개념으로 도화교육의 실용성이 강조된 그림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at how the development of modern drawing education and its impact had affected the secondary school at those times. Also I examined mechanical drawing textbooks educated in Kyungsung High School of Engineering. The contents of the modern mechanical drawing textbooks are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First, mechanical drawing textbooks were based upon the plane geometry drawing method. Second, they include the projection drawing method. Third, they also include the perspective drawing method. This study presented some supporting evidence that mechanical drawing education was offered by Government Technical Training Institute (1907-1922) (major hub of mechanical drawing education), Kyungsung National Institute of Engineering(1922-1934), Kyungsung Provincial Institute of Engineering(1938-1945), Kyungsung High School of Engineering(1922-1945). In particular, Kyungsung High School of Engieering served as a sole organization for higher education, and it is undeniable that numerous graduates from here contributed considerably to Korea's industrial breakthrough together with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during the modern era. This study can lay the foundation for wide-ranging discussions about mechanical drawing education as part of modern art education, thereby broadening horizons of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art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