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미술교육을 둘러싼 문화적 쟁점의 비교

Comparing Cultural Perspectives on Art Education

  • 49

본 연구는 미술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문화적 쟁점들이 차지하는 위치(locus)와 다루고 있는 초점(focus)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상호연관성을 살피고 이를 통해 미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술교육에 영향을 미친 문화적 쟁점들의 위치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 었던 것은 이들 관점들이 마치 새롭고 독자적인 교육접근법으로 주창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1)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필요성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2)미적 또는 인류학적 상징표 현으로서의 문화 차원을 다루고 있고, 3)교육의 사회적 가치를 강조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초점분석을 통해서는 1)대부분의 문화적 관점들이 내용 측면에서 문화적 지식을 넘어 문화적 문해(cultural literacy)를 제고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다문화미술교육을 제외 하고는 문화적 실천(cultural practice)에까지 이르지 못하였고, 2)교수방법 면에서는 각 문화 적 관점별로 특징적인 교수학습법 특히, 과정중심의 참여적이고 실천적인 학습법이 개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미술교육을 둘러싼 문화적 쟁점들이 교육적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종래의 경우처럼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추가되기 보다는 기존 교육과정 속으로 이러한 문화적 쟁점들이 스며들 도록 교육과정을 재편하고 교사 등 매개자의 역량을 강화하여야 하며 문화 대응적 교수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가 가능하도록 학교 및 교실환경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features of cultural perspectives, which have been influenced on art education,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ose perspectives. Findings, by the locus analysis, are as following: those cultural perspectives are not unique but overlapped each other in various aspects. Especially, most perspectives are based on the policy orientation to solve social problems. Dealing with ‘culture’ as the symbolic expression of aesthetics and anthropology, those perspectives are tackling the social value of art education. And, by the focu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perspectives tend to strive to enhance the students’ cultural literacy and sensitivity. But it was also acknowledged that the perspectives is not likely to go further toward the cultural practice.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approaches of art education seem to adopt uniqu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are process-oriented, collaborative, and practical to help students attain an universal self-concept. Lastly, the purpos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an not be achieved through additive approach, but those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embeded into the exist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dagogy. To this, educational authorities endeavor to develop the capacity building of teachers and maintain school environments to facilitate a cooperative learning.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