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 초상화에 나타난 철선묘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e drawn like wire in the Traditional Portrait for th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 70

본 연구에서는 전통 초상화에 나타난 철선묘의 사상적 배경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관한 교육적 활용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는 전통미술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조형요소로 ‘선’ 이 인식됨에도 불구하고 ‘선’에 관한 일반적으로 나타나기 쉬한 단순하고 획일화된 이해방식에 서 벗어나, 조형적 인식과 기법 교육의 다양성을 획득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초상화에 철선묘는 전신사조라는 회화이론을 기반으로, 형태 이외에도 인물의 정신성을 담으려는 미학 적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 이 때 전신사조를 이루는 방법으로 이형사신, 즉 형태를 완전하게 갖춤으로 정신을 그릴 수 있다는 개념은 철저한 관찰과 정확한 묘사를 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철선묘는 전신사조를 이루는 실기적 방법론으로 제시된다. 철선묘는 조선시대 후기 특히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초상화, 풍속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이에 조선시대의 초상화 에 나타난 철선묘를 분석해 보기위해 <강세황 초상>과 <채제공 초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철선묘를 학생들에게 교육할 수 있는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이 때 나타난 학생들의 작품을 분 석해 보았다. 이러한 철선묘의 교육적 활용은 붓의 사용이 서툰 현대의 학생들에게 전통회화 에 관한 흥미유발을 가져올 수 있고 작품의 완성도와 깊이감을 더해 성취감을 가져올 수 있었 다. 이러한 철선묘의 교육을 통해 전통미술 교육에 관한 영역을 확장하고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실제적인 수업방안을 제안한 본 연구는 현장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ormative value about the line drawn like wire which is called Chulsunmyo of the traditional portrait and implicate for art education. I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paintings, there is a oversimplified analysis of the line, which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mative element in traditional painting.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the multi-dimensional study on the various meanings of traditional painting are very essential.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an increase of attention on the fact that in traditional art, there was more emphasis placed o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line in the traditional portrait.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line drawn like wire in order to unveil the width and breadth of meanings entailed by line of the traditional painting. The idea of ‘Junsinsajo’ supports the expression of the line drawn like wire because the idea could appear by an accurate observation and form.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ous applications of the line drawn like wire of Kang, Sehang and Chae Jegong in the Chosun Dynasty. Throug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formative meanings of line drawn like wire, I suggest a practical education method that creates various portraits by the compose of the line drawn like wire. This research has the implications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that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the line about traditional portraits, which is included in the idea of ‘Junsinsajo’, by revisiting its ideological and aesthetic significances in traditional ar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