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원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Principle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Art Education

  • 352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 후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 으며, 이를 교과의 맥락에서 해석하고 적절하게 구현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자기주도학습의 특징 과 주요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개인에 국한되지 않은 학습자-교사 간의 상호작 용적, 관계적 시각에서 자기주도학습을 논의하였다. 또한 자기주도학습의 핵심적 논의를 미술 교과의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 회적 구성주의의 개념에 기초하여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와 원리를 탐색하고, 전통적인 아동중심의 학습자관을 학습자 중심, 즉 사고하고 참여하는 문화적 주체로 전환할 수 있는 개념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최근 미술교육의 담론에 기초하여 미술과 자기주도학습의 원리를 통합적 내용구성, 다면적 스캐폴딩 제공, 그리고 메타인지 강조의 3가지로 제안하였다. 이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미술 수업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평가를 조직하기 위한 원리로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의 주도성을 강조하는 최근의 교육적 요구는 개정된 교육과정을 수업에서 구현하여야 하는 교사나 새로운 교과서를 개발하는 연구자 모두에게 도전과 기회를 제시하고 있다. 다양 한 수업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구조를 고안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미술교육 연구와 수업의 변화 를 모색하기 위한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ince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officially announced, the social need for self-directed learning has increased. It also has expanded the significance of interpreting its meaning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and of developing the practical methods for implementation.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primal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n, it sheded light on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be student and the teacher. In addition, the art educational meanings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constructed in association with the shifted meaning of ‘learner’ in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conceptualization was to open the avenue for placing the student at the center of meaning making and cultural participation.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3 principles of self-directed learning in art educati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content design; multi-layered scaffolding in instructional design; the focus on meta cognition in assess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the conceptual ground on which the strategies and methods for self-directed learning would be developed in art educat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