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급변하는 직업세계에서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도 2016년부터 자유학기제를 전면 실시하는 등 청소년 시기부터 진로 선택을 위한 다양한 교육정책에 주안점을 두고 미술교육에서의 진로 탐색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특히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적성과 재능을 발견하고 사고력을 키우는 질 높은 교육으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교육의 방향에 부합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을 성 취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진로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 현장의 요구와 교육 정책적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쉽고 재미 있는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미술교육에서 흥미로운 진로 탐색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페이퍼토이 제작을 통해 자신의 진로 탐색 과정을 연관시켜 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 본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서울시 와 경기도에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페이퍼토이 제작을 통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막연하게 생각하던 진로 결정의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도 수 립하게 되는 등 진로교육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진로교육은 모든 교 과들에서 여러 방법으로 다뤄지겠지만 미술교육의 표현, 감상, 체험 활동 등을 통해서 구체적 인 프로그램들이 개발된다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진로 정보 수집 및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이 개발되어야 하고 학생들에게 사전에 진로 탐색에 대한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As the importance of career guides in the field of job seeking is emerging over the world and also in our country free-semester system is fully realized from 2016, this study examine how to find one’s career in the field of art, focusing on different educational policies for career guides from teen-age and examine. Particularly, the revised art curriculum(2015) shows the career teaching as on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o help students find their own ability and character and transfer to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o raise students thinking ability. However, it is the case that students are not given the opportunities of specific career guides to help them choose the careers to fit their own characters with their own firm believes about their future. Therefore, with awareness the importance of giving students the easy and interesting job searching, this study has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o connect making paper-toy and career-seeking to help their interesting career searching. As the result to apply the ‘career searching program through paper-toy making’ to rais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is study, there were positive effects that the students found the goals of their career and improve the efficacy of career decides that they just vaguely thought. Especially, when it extends to the drama activity by using paper-toy, it was found that the expecting mind about the future became higher. Though these career education might be treated by various methods in all kinds of subjects, if concrete programs are developed through expression, appreciation, and experience, effective career education can be practiced for students. For these purposes,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s by teacher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possible to practice should be developed first, and the opportunities of students to think of their career need to be exp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