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 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진로교 육은 국제 사회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사안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몇 년 동안 정부 주 도하에 진로교육을 강화하려는 정책이 시도되고 있는데 특히 학교를 기반으로 하는 진로교육 의 다양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 예술 고등학교의 경우, 진로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해당분야와 관련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는 예술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진로탐색 활동의 한 방법을 제안한다. 진로이론 중 발달적 관점에서 볼 때, 진로의 발달은 개인의 성장과 함께 전 생애에 걸쳐서 일어나며 고등학생 시기에 발달 해야 할 진로 의식, 진로 결정 능력, 해결 능력 등이 교육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이 스스로 자신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객관적으로 미술 관련 진로 정보를 탐색하며 선택하는 과정이 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설계 후 P시에 소재한 예술 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 79명에게 적용하였으며, <미술 문화>정규 수 업 시간을 활용하여 총 8차시에 걸쳐 “나의 진로 이야기” 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을 진행하였 다. 진로성숙도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 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검사결과는 진로성숙도가 전체와 하위영역인 태도, 능력, 행동 영역 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 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relat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art students by developing the art-related career exploring program, and applying it to actual field. In recent year, policies that enhance career education are implemented for school setting by government in a variety of ways. In the perspective of career development theory, career development takes a place in whole life by following individual development.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need to be educated to combine career awareness, career decision-making capacity and solving skills in a period of high school.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has developed a career exploring program through the art curriculum for students in art high school. The program consisted of courses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the objective information about art-related career through art curriculum.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has been applied to 79 first grade students of the art high school. Those students participated to art class of creating “My career story” portfolio. For collecting date for analysis of the result, career maturity test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as used and this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program and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career maturity score and this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programs related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