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십대 손자녀가 지각한 역경과 가족 레질리언스에 관한 질적 분석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Adversity & Family Resilience of the Teenaged Grand Children at the Lower Class Grand-Children Family

  • 168

본 연구는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십대 손자녀가 지각한 역경과 가족 레질리언스를 심층면접을 통해 분석하여, 조손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 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십대 손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역경은 경제적 어려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어려움, 조손가족에서 겪는 가족 내의 사건 사고, 가족 갈등으로 대표된다. 둘째, 가족 레질리언 스에서 가족을 유지하는 강력한 힘은 가족의 신념체계이나, 가족의 조직체계와 의사소통 과정이 상 대적으로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오늘날 증가하고 있는 부부해체로 인한 자녀의 소외와 자녀의 정서적 결함의 문제를 해결하는 자녀양육 대안 가족으로서, 조손가족의 힘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제안을 하 고 있다. 즉 ‘조손가족지원법(안)’ 제정, 조손가족의 경우 ‘이혼 면접교섭권 범위에 조부모를 포함’ 하 는 제도적 개선 등이다. 또한 조손가족의 특수한 역경의 문제를 해결하는 외재적 서비스 지원체계와 가족상담, 학교 사회체계와의 연계, 지역사회네트워크를 위한 다양한 지원체계 등을 포함한 제도적 법률제정과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adversity and family resilience perceived by the grandchildren in low-income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o make proposals for policies to support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adversities of the families perceived by teenaged grandchildren include economic difficulties, difficulties caused by parents’ divorce, accidents and incidents experienced in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and family conflicts. Second, the belief system of a family is a powerful force to maintain the family in family resilience, but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family show relative vulnerabi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als for social policies are made to support the power of a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as an alternative family for raising children, which resolves the issues of the alienation of children and their emotional defects due to marital dissolution which is increasing today. In other words, these include the necessity of the enactment of ‘support for supporting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act (bill)’ and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include grandparents in the scope of visitation right after divorce’ for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In addition, institutional enactment and interest are required, including s system for supporting extrinsic services, family counseling through vouchers, connection with school and social system and various support systems for community networks to resolve the issue of adversity specific to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