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학교 밖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변인이 성비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Variables on Sexual Delinquency of Dropout Adolescent

  • 202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변인이 성비행 행동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광주 및 전남지역의 학력인정평생교육시설을 이 용하는 학교 밖 청소년 3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 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개방적 성태도와 자극추구성향의 개인적 특성, 비행친구접촉과 성비행 또래동조성의 또래친구환경, 온라인 및 오프라인 음란물 접촉과 지역사회 유 해환경의 사회환경과 성비행 행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가정환경의 가족분위기와 성비행 행동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성비행 행동에 대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또래친구환경, 개인적 특성, 가정환경, 사회환경 요인 순으로 성비행 행동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비행 또래동조성, 비행 친구접촉, 자극추구성향, 지역사회 유해환경이 높을수록 학교 밖 청소년의 성비행 행동에 영향을 미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성비행 행동 감소 및 올바른 성 정체성 확 립을 위해 가정-학교-지역사회가 연계한 사회안전망 구축과 학교 복귀 시스템 구축을 실천적 함의로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sexual delinquency of dropout adolesc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sexual delinquency of dropout adolescent, the study examined 324 adolescents enrolled in life-long education facility with recognition of learning at Gwangju and Jeonnam areas. Collected questionnaire survey sheets were codified and data were processed as follows using SPSS program.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environment, peer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was confirmed to be correlated with sexual delinquency of dropout adolescent. Secondly, dropout adolescents using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with recognition of learning had been affected by peer environments such as contact with delinquent peers and peer homoology of sexual delinquency the most for their sexual delinquency. Therefore, to decrease the level of sexual delinquency of dropout adolescent can be presented as practical implications to establish Linking the home, school and the community social safety net and support system for the return to school.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