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학력에 대한 발달적 평가(developmental evaluation) 체제인 국가수준학 업성취도평가(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를 실시하고 있다. 기초학력미달은 NAEA 결과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학습부진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의무교육이 초등학교에서 중학 교까지 전면적으로 확대되면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누적된 학습곤란을 가진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이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기초학력미달 중 학생들의 경험을 깊이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명의 전국 각지의 기초학력미달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중학교 생활경험이 어떠한지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 탐색했다. 연구결과 기초학력미달 중학생의 경험의 구조는 최종적으로 8개의 범주와 25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무동기와 학습된 무기력의 되풀이’, ‘불 편한 또래?가족?사회와의 관계’, ‘학교에서의 부정적 정서 경험’, ‘어려운 학교공부, 멀고도 험한 길’, ‘도 움이 되지 않는 학습전략의 사용’, ‘막연한 진로신념과 계획’, ‘청소년 일탈과 비행으로 징계’, ‘생활에서의 자원과 강점의 재발견’이었다. 따라서 기초학력미달 중학생이 학교와 생활에서 겪는 경험은 ‘영유월령 천섭 월섭월심(嶺硫越嶺川涉越涉越深: 고개는 넘어도 고개요, 내는 건너도 깊다)’의 암담한 현실과 실날 같은 희망의 조우였다.
South Korea conducts developmental evalu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Through this test,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are screened out.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refers to lowest score section in the NAEA. As compulsory education is expanded to middle school education, students who are in need of help regarding studies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go to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eply understand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In order to practice this study,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bout middle school life took place on 19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elow-basic academic proficiency level from all over the country.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analyzing method, 8 category and 25 sub-category were noticed about experience of these students. In essence of participants’ experience, following components were shown ‘amotivation & repetition of learned helplessness’, ‘uncomfortable relations with peers, family, and society’,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t school’, ‘difficult & long road of school study’, ‘unhelpful learning strategies’, ‘vague career beliefs & plans’, ‘disciplinary punishment by juvenile delinquency’, and ‘rediscovering resources & strengths in life’ etc. They certainly seemed to be in hard going and to be in deep waters. There were encounter with a dark reality and a faint hope among their life.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4)
- 청소년의 생활사건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 양식의 조절효과
- 부모애착이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남 진주시 육아지원을 위한 장난감 은행 서비스의 질적 제고와 만족도 분석
- 중학교 기초학력미달 학생으로 살아가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농촌지역 거주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복지의식에 관한 주관적 인식 연구
-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증 해소를 위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부모지지의 매개효과
- 사회복지상담 실천의 통합 절충적 4단계 모형 연구: 탐색-통찰-실행-유지
-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부부갈등과 아동의 수치심의 관계: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조절변인인가 매개변인인가?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내외통제성 매개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이용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