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Family Strength, and Parenting Efficacy of Young Children’s Mothers

  • 251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 소재 15개 어린이집 만3∼5세 어머니 343명을 대상 으로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 양육효능감을 측정한 후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하여,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 양육 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양육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친다. 셋째, 가족건강성은 양육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가족 건강성 중 가족건강성이 양육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서는 어머니의 개인적 환경과 관련되는 가족의 긍정적인 환경을 형성하며 양육효능감을 위한 효율적 인 양육방식을 모색하는 등의 실제 적용 가능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and family strength on parenting efficac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measuring mother’s social support, family strength, and parenting efficacy on 343 mothers of 3∼5 year old children in 15 day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 through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ocial support, family strength, and parenting efficacy. Secondly, mother’s social support makes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Thirdly, family strength makes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Fourthly, among mother’s social support and family strength, healthiness of family makes the greates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a wide range of research on establishing positive family environment that relates to the personal environment of mothers and effective parenting method would be necessary to raise parenting efficac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