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이오복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6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04
- 215 - 240 (26 pages)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유학생, 결혼이민자들로 인하여 다문화 사회현상이 뚜렷 해지는 시점에서 다문화에 집단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바람직한 인식이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 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전문가로서 사회적 소수자인 다문화 집단 과 접촉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보다 수용적인 다문화 인식이 요구되는 직업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를 준비하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다문화 집단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14명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과 심층면담을 진 행하고 콜라쥐(Colaizzi)가 제시한 6단계에 의거해서 자료를 분석하여 15개의 의미 있는 주제와 6개의 주제묶음을 얻었다. 6개의 주제묶음은 ‘우리 국민들 보다 못한 사람들’, ‘내국인 혹은 외국인’, ‘상처 속에 자라는 보물’, ‘나와의 관계성’, ‘국가 정책적 문제’, ‘미래의 다문화 사회를 위한 준비’ 등이다. 연 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령기 학생들에 대한 다문화 기초 교육,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교류의 기회 갖기, 대중 매체를 통한 전 국민 인식개선 노력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multicultural perceptions using phenomenological approach. Research participants were 14 university students who had completed a subject related to multiculture and majoring in social welfar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by six steps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5 themes and 6 theme clusters on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perceptions were driven. The final 6 theme clusters are as following; ‘people inferior to natives’, ‘Korean or foreigner’, ‘treasure growing in suffering’, ‘relationship with me’, ‘national policy’, ‘prepartion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In the view of the above findings of this study, we suggest educating in multiculture to school aged children, giving students an opportunity of coming into contact with foreigners through voluntary action in the community, trying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the nation’s through mass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