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계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7권 제1호
-
2018.0475 - 104 (30 pages)
- 147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매개변인(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1개교, 충청남도의 3개교 등 4개교의 전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82명이 분석에 포함되었고, 자료처리는 SPSS 21.0 및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부모양육태도와 종속변인인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한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사이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도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가 사회적 지지를 매개한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 사이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도 부(-)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기존 연구와의 논의과정을 거친 후, 결론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mediating variables (self-esteem,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perceiv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382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four universities including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ree schools in Chungcheongnam-do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through self-esteem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arenting attitude and self- este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betwee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by social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negative influence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discussed with previous research.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