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tress of Emotional Laborer

  • 360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가 경험한 감정부조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J와 K 지역에 근무하는 금융 종사자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 감정부조화와 자아탄력성,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 관계를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개인의 내적요인인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한다는 것을 밝혔다. 즉 자아탄력성은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함에 있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심리·정서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변인과 관련된 후속연구와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study, there is a purpose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impact of the emotion dissonance that emotional laborers have experienced on job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including 240 financial workers engaged in general work in the area J and 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SPSS 21.0 program.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ll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tress, emotional dissonance and ego resilience, ego resilience and job str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of emotional laborer and job stress is partially mediated by resilience. This study confirmed correlation of emotional dissonance, job stress, and ego resilience of emotional laborer, and showed that the ego resilience, one's internal factor. In other words, ego resilience is emotionally important factor which cause stress in understanding job stress of emotional laborer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e data for a follow-up study about job stress factors and enhancement of ego resilience, and be helpful for development and counseling of ego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