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글래서(Glasser)의 선택이론에 기반 한 청소년용 내-외부통제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for Adolescent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 189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절차에 따라 Glasser의 선택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청소년용 내-외부통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Glasser의 내-외부통제성 개념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한 예비문항 구성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한 최종문항 확정, 최종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및 행복과 우울 등 다른 변수와의 관계 등을 탐색함으로 척도의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수렴타당도,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외부통제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고, 안정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가진 도구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청소년의 내-외부통제성의 개념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선택이론, 현실치료 상담효과를 직접 검증하는 연구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선택이론의 주요 하위 요소인 관계형성, 바람 탐색, 행동 탐색, 평가 촉진 등을 하위변수들로 구성된 척도 개발, 내-외부통제성 증가 및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확인 작업, 다양한 상담 장면에서 본 척도를 활용한 사전-사후 실험연구 등 후속연구가 요청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of internal-external control for adolescents based upon Glasser’s Choice Theory and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1st survey, 41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2nd survey and 15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3rd survey. The measuring tools used were the Locus of Control Scale for Children, the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for Adolescents based on Glasser’s Choice Theory was developed. It consisted of 20 items for two factors - internal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showed that this scale had high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Cronbach's alpha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refore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upon the Glasser's Choice Theory was an appropriate measuring tool to be used for adolescents in Korea.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