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지식 지형의 변화에 따른 조선 후기(18~19세기) 종교문헌과 언어문제*

The Religious Literature and Language Problem Related to the Change of Knowledge Topography in the Late of Joseon Dinasty(the 18-19 Century)

  • 93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종교 문헌을 중심으로 지식의 기능과 언어 의 역할을 살피는 데 목표를 두었다. 지식은 앎과 인식을 통해 세계를 이 해하고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식을 표상하는 언어 의 형식과 내용은 지식의 영향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 개념의 변화와 언어 문제, 조선 후기 지식 지형의 변 화와 종교 문헌의 언어적 특징 등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의 개념과 기능에서는 앎으로서의 ‘지(知)’와 인식으로서의 ‘식(識)’에 대한 공자와 율곡, 성호와 혜강 등의 주장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공자의 학지(學知)와 곤지(困知), 율곡의 ‘학문이 아니면 사람 구실 을 할 수 없다’, 혜강의 운화의 기(運化氣)와 부합하는 지와 식 등은 시대 에 따라 지식관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지식의 개념과 지식 관이 변화함에 따라 지식을 표현하는 언어 문제가 뒤따름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이자 사고 형성의 수단이라는 점을 고려 한다면, 지식관의 변화에 따라 언어관 또는 언어사용 방식의 변화가 일어 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셋째, 조선 후기에 이르러 서학이 수용 되면서 지식관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따라 생성된 각종 종교 문헌은 새로운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고, 그 세계관을 널리 보급하기 위한 동기에서 한글 사용이 확대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넷째, 새 로운 세계관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지식을 활용하는 문제와 표현 형식으로서의 문자사용 방식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문장부호 의 등장도 그러한 예의 하나이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hange of knowledge topography in the late of Joseon Dinasty. I noticed the processes of knowledge acceptance and accultu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researched the concept and function of knowledge as ‘Ji(知, simple knowledge or information)’ and ‘Sik(識, cognition or perception)’ in the ideas of Confucius(孔子), Julkok(栗谷), Seongho(星湖) and Hyegang(惠岡). The concept of knowledge changed from touches of humanity(or moral) to experience of knowledge(Choi Hangi called these knowledge ‘Wunhwa(運化)’). Second, the change of view on knowledge created various language problems such as use of character or translation. A lots of religious manuscript in Hangeul appeared in the late of Joseon Dinasty, Third, the acceptance of Western religion(so called Seo-hak that meant the study of Western) resulted in the change of knowledge viewpoint. Fourth, the main problems of language were how to use of existing knowledge or ideas and how to use the characters. In these problems reflected in various religious Korean Alphabet manuscripts such as punctuation marks.

1. 서론

2. 지식의 개념과 언어의 역할

3. 조선 후기 지식 지형의 변화와 언어 문제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