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훈민정음 ≪해례≫의 협동 작문에 대한 일고(一考)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Writing of Hunminjeongeum Haerye

  • 112

이 글은 훈민정음 ≪해례≫ 텍스트의 협동 작문으로서의 속 성을 탐색해 보는 연구이다. 훈민정음의 ≪해례≫는 세종을 위시하여 명유(名儒) 8인이 공동 저자로 참여한 협동적 글쓰기(collaborative writing) 작업의 결과물이다. ≪해례≫ 텍스트를 생산하는 데 작용했을 협동 작문의 속성들을 따져봄으로써 세계 유일의 문자 해설서 ≪해례≫ 를 오늘날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한다. ≪해례≫에 내 재된 협동 작문의 속성은 1) 유연성을 전제로 한 대면적 상호작용을 집필 과정의 기본 기제로 삼았다. 이는 동시다발적인 피드백에 큰 영향을 준다. 2) 개인 책무성의 발현으로 구성원의 각 개인별 특징을 고려하여 그에 맞 는 전담 과제가 부여된다. 3) 집단의 책무성은 대화적인 협동을 통해 군 신(君臣) 간의 다양한 의견 및 구성원 간의 다면적인 접근 속에서 발전적 으로 이루어졌다.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 of Hunminjeongeum ≪Haerye≫ as a collaborative writing. The ≪Haerye≫ of Hunminjeongeum Haeryebon is the result of the participation of eight people as co-authorship, centering on Sejong. By revealing the nature of collaborative writing that would have played a role in producing ≪Haerye≫ texts,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s only ≪ Haerye≫ text book, which is today s view. Through this study, we will see that there is an exemplary typology of collaborative writing in our own texts. The nature of the collaborative writing in ≪Haerye≫ is as follows. 1) face-to-face interaction: It is the basic mechanism of the writing process. This greatly affects simultaneous feedback. 2) individual accountability: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member, a dedicated assignment is given to them. 3) group accountability: Through dialogical cooperation, various opinions are made between the king and his servant. And it was developed in a multi - faceted approach among members.

1. 머리말

2. ≪해례≫의 공동 저자와 협동적 글쓰기의 관계

3. ≪해례≫에 내재된 협동 작문으로서의 속성 탐색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