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 통합 교재 내의 신문 활용 분석 연구 ―고급 단계 교재 중심으로―

Analysis of Newspaper Usage in Korean Textbook ―Focus on Advanced Level Textbooks ―

  • 669

이 글은 한국어 고급 단계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통합 한국어 교재 중에서 신문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분석하고, 분석을 통해 한 국어 교재 내의 신문 활용 특징을 찾고 시사점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논문 이다. 고급 단계 학습자들에게는 신문 읽기 학습은 중요한 요인이다. 신 문은 고급 단계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하며, 한국어 신문을 읽고 이해하는 것으로 고급 단계 학습자들의 능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 고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 신문을 활용하는 교육이 필 요하다는 연구는 여러 차례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에서 신문이 어떻 게 활용되고 있고, 그 특징은 무엇이며 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 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교 어학당의 고급 단계 학습 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통합 교재 5종을 선정하여 통합 교재 내에서 신문 을 어떻게 제시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특징과 시사점을 살펴보 았다. 5종의 교재를 분석한 결과, 고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통합 한국어 교재에서는 읽기 영역 외에도 전체 도입, 어휘, 문법, 듣기와 말하기 도입 등에서도 신문을 활용하고 있었다. 읽기 영역에서 제시된 신 문 기사의 종류로는 피처 기사가 가장 많고 다음 칼럼과 인터뷰 기사가 많았다. 그러나 각 교재마다 제시하고 있는 기사의 종류와 유형이 달랐으 며 읽기 영역의 신문 기사 주제도 다채롭지 못했다. 또한 읽기 학습에 있 어서 읽기 전후의 활동은 읽기 전 스키마 활동과, 읽은 내용을 얼마나 이 해했는지 확인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나 통합 교재 내의 신문 읽기 학 습에서는 읽기 전과 후의 활동에서 차별된 것을 찾을 수 없었다. 통합 한 국어 교재 내의 신문 읽기 활동은 신문 기사의 특성을 살린 것이 아닌 다 른 읽기 텍스트와 유사한 읽기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재 개발이나 신문 기사 읽기 학습을 할 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시사점을 남기는 것으로 본 논문의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 newspapers are used in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newspaper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analyzing textbooks and to identify problems. In this study, I selected five types of Korean textbooks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result, Korean textbooks used various newspapers in reading, vocabulary, grammar, listening and speaking. However, newspapers types and types of articles used in each textbook were different. The topics of the newspaper articles did not vary. When study to read newspapers, pre-reading activities and post-reading activities were common. It was not a reading activity for newspaper articles. Through these problems, I suggested what is needed in developing Korean textbooks and reading newspaper articles in the future.

1. 머리말

2. 분석 대상 및 한국어 교재 읽기 학습 구성

3. 한국어 교재 내의 신문 활용 분석

4. 한국어 교재 내의 신문 활용 특징 및 시사점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