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pamine(DA)은 뇌실내 투여시에 항이뇨와 함께 Na 배설증가 경향을 보이며, D<sub>1</sub>, 및 D<sub>2</sub> 두 종류의 중추 Dopamine수용체가 신장기능에 서로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시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적 D<sub>2</sub> 길항제인 Comperidone(DOM)을 이용하여 중추 D<sub>2</sub> 수용체의 역할을 구명코자 하였다. DOM은 측뇌실내로 (icv)투여시 항이뇨 및 Na 배설감소를 초래하였으며 신혈류 및 사구체여과율도 감소하였다. 전신혈압은 약간 증가하였다. 정맥내투여시에는 Na 배설에 변동이 없었다. 신경을 제거한 신장에서는 icv DOM에 의한 신혈류역학적 변동은 제거되었으나 Na 배설은 제신경신장측에서도 정상신장측에서와 같이 감소하였다. DA icv의 항이뇨작용은 DOM 전처치에 의하여 영향받지 아니하였다. D<sub>2</sub> 수용체 agonist인 Bromocriptine은 뇌실내 투여시 현저한 이뇨 및 Na 이뇨를 나타냈으나 이 작용은 DOM 전처치로 완전히 차단되었다. 또 다른 형의 D<sub>2</sub>-agonist인 Apomorphine의 icv 투여는 일과성으로 신혈류역학의 증가와 함께 이뇨 및 Na 배설증가를 초래하였으며, DOM 전처치는 신혈류역학변동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뇨량 및 Na배설증가는 DOM 전처치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약시켰다. 본 연구는 중추 D<sub>2</sub> 수용체가 어떤 체액성 natriuretic factor를 퉁하여 신장에 이뇨 및 Na 배설증가작용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중추 D<sub>1</sub>, 수용체는 신경경로를 통하여 항이뇨적 영향을 미치고 중추 D<sub>2</sub> 수용체는 Na 배설증가작용을 매개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하였다.動機)는 부담없고 자유(自由)스러운 분위기 때문에 찾는 경우가 많았다.,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은 생물의학이 아닌 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알맞지 않고 비윤리적이라고 강한 비판을 받았다. 한편 1995년에 WHO는 침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이 실험기법을 추천하며, 이어 2001년에,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edical Acupuncture and Related Techniques(ICMART)는 침연구와 시술을 위한 헌장(Acupuncture Charter Berlin an Evidence Based Medicine (EBM)3 for acupuncture)을 채택 공표한다. 독일 보험 회사들도 침의 효과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규모 실험을 시작했다. 100,000 명이 넘는 환자들이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을 통해 평가되고 있는데 이 실험은 병원이나 일차의료기관의 외래에서 진행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 분야의 유력한 Edzard Ernst가 위의 개념과 비슷한 구도를 설정 공표하는데 보완의학 분야의 많은 다른 전문가들의 견해를 무릎 쓰고, 그는 증거기반 의학에 대한 그의 신념을 표방한다.
Dopamine when given icv induces antidiuresis along with transient natriuretic tendency,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both subtypes of central dopamine receptors may influence renal function differentiall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lineate the role of central D<sub>2</sub> receptors employing domperidone (DOM), a selective D<sub>2</sub> antagonist. DOM icv elicited antidiuresis and antinatriuresis in doses ranging from 15 to 135μg/kg. GFR and RPF as well as sodium excretion decreased. Systemic blood pressure increased slightly. Intravenous DOM did not elicit significant changes in sodium excretion. Denervation of the kidney abolished the hemodynamic change induced by icv DOM, but sodium excretion decreased on both innervated and denervated kidneys. No diuretic tendency was uncovered by the denervation. Dopamine, 150μg/kg icv, produced antidiuresis along with decreases in hemodynamics. These effects were not affected by DOM-pretreatment, and no natriuretic tendency was unveiled. Bromocriptine, a D<sub>2</sub> receptor agonist, 200μg/kg icv, elicited marked diuresis and natriuresis, which were completely abolished by DOM-pretreatment. Apomorphine, another prototype of D<sub>2</sub> agonist, 150μg/kg icv, produced diuresis and natrituresis with increases in renal hemdoynamics, followed by decreases in all parameters. DOM-pretreatment did not affect the renal hemodynamic effects, wherease the increases in urine flow and sodium excretion were markedly reduced by DOM,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entral 200μg/kg receptors mediate natriuretic and diuretic influence to the kidney, possibly through mediation of natriuretic humoral factor, and provide further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central 200μg/kg receptors mediate antidiuretic influence via nerve pathway, whereas natriuresis are brought about through mediation of central 200μg/kg receptors.kg$</TEX> recep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