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에서 서울의대 통합교육 30년의 시행경험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통합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이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과제들을 정리해보았다. 서울의대는 1971년 통합교육을 도입한 이후 약 10년 동안의 조정기간을 거쳐 현재와 같은 형태의 통합교육과정을 갖게 되었다. 안정기로 간주되는 1981년의 통합교육은 당시로서 상당히 선진적인 것이었으며 운영도 비교적 충실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1971년 당시 제1단계로 설정되었던 교과과정 개편의 후속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통합교육은 1981년 이후 평가와 기획 및 조정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여 교육과정은 경색을 면치 못하였고, 1981년에 수립한 중요한 몇 가지 원칙도 준수하지 못하였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교육과정 개편의 철학이 전 교수에게 공유되지 못하였던 것과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기능이 해이해진 것, 의과대학의 중심조직인 교실을 넘어선 교육조직의 활동성을 보장하는 철학적, 인적, 물적 지원의 부재를 중요한 원인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1999년 교육과정의 전면적 개편시도과정에서 드러난 통합교육을 둘러싼 학내의 이견은 이와 같은 20여 년의 정체를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신교육과정을 원활하게 조직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정서에 부합하는 다-교실 합의그룹 운영형태를 개발하고 이 그룹의 실천적 기반을 지원할 시스템을 개발할 뿐 아니라, 교육과정의 개발 및 모니터에 컴퓨터 네트워킹을 활성화하여 교수들의 소요시간과 노력을 절감하면서 교육과정의 재조직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교육과정의 시행 이후 지속적으로 이를 항구적으로 모니터하고 기획, 조정할 수 있는 실질적 조건을 갖추고 이에 대한 교수들의 합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t was about thirty years ago that integrated teaching courses were first introduced to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ho had totally discipline-based curriculum up to 1971, implemented the new curricular component which was benchmarked from the experiment of Case Western University (USA) in 1950s, and accommodated it to her educational environment fairly delicately at least for the first ten years, and her pioneering experiment played a role-model to many medical colleges in Korea. However, the integrated courses(1/4 of basic medical science learning period) became stereotyped in curricular management, distended in contents, became more and more lecture-dependent, despite basic principles advocated at the implementation stage which emphasized diversification in learning methods, and at last fell to a faulty component in curriculum. And it became a serious handicap hindering the latest endeavor for curricular innovation aiming at a whole, vertical and horizontal curricular integration. From analysis of various numerical data and historical records, we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integrated curricular component should be supervised and evaluated continuously by a powerful standing committee far more than non-integrated one should be; success in the formation of multi-departmental consensus group which is influenced by cultural or political factor of the country or the medical professional society, is a precondition to run it successfully; an integration of curriculum not only requires deliberate technical manipul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diversification of learning methods but also requires a philosophical or political innovation in medical society to overcome firm and high inherited barrier between departments.
머리말
역사와 현황
신교육과정의 모색과 과제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