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학년도 한림대학교 의예과 제 1 학년 학생의 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 선택 여부와 유기화학 및 물리화학 성적 비교
Comparison of the Scores of Organic Chemistry and Physical Chemistry in Freshperson of Preliminary Course in Year 20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hemistry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한국의학교육학회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제12권 제2호
-
2000.11363 - 368 (6 pages)
- 33

한림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예과에서 화학 과목 설강이 필요한지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2000학년도 신입생 중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을 선택 여부에 따라 유기화학 및 물리화학 성적이 차이가 나는 지 조사하였다. 유기화학 성적은 화학 선택한 학생이 다른 과목을 선택한 학생보다 유의하게 성적이 높았다 (P<0.05). 그런데, 이 자료에서 남녀별로는 차이가 없으나, 화학을 선택하지 않은 여학생은 77.36, 화학을 선택한 여학생은 76.57로 여학생에서는 화학 선택 여부가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화학을 선택하지 않은 남학생의 평균이 64.07, 선택한 남학생이 78.08로 표준편차에 근접하는 차이가 있었다. 물리화학 성적은 유기화학과 다르게 남녀 모두 화학을 선택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성적이 높았다. 이 과목에서는 화학을 선택하지 않은 남학생이 평균 48.34로 화학을 선택한 남녀학생 평균 점수 60.30, 58.45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고, 화학을 선택하지 않은 여학생 점수 52.61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화학을 선택하지 않은 여학생이 화학 선택한 남녀 학생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입생이 유기화학 및 물리 화학 성적이 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 선택 여부보다는 성별 차이로 인하여 성적 차이가 난다는 이와 같은 결과는 유기화학과 물리화학 학습 성취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학 과목을 예과에 개설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학습 동기 부여와 학습 태도에 대한 지도가 필요함을 보여 준다.
Is it necessary to open the course general chemistry to help freshperson to complete courses of organic chemistry and physical chemistry in the preliminary course of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As a basic step to answer this question, the records of the organic chemistry and physical chemistry were compared according to chemistry selection at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freshperson of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in the year 2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records of organic chemistry between chemistry selecting group and chemistry non-selecting group that selected physics, biology and earth science.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emistry selecting female and non-selecting female,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emistry selecting male and non-selecting female. As for physical chemistry, the records of selecting chemistry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selecting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chemistry selecting male and chemistry selecting male and female while a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chemistry selecting male and non-chemistry selecting female. However, records of non-chemistry selecting fema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hemistry selecting male and female. This result means that difference of records is not dependent on the chemistry selecting but dependent on the sexual difference. Therefore, the opening of general chemistry as preliminary course for organic chemistry and physical chemistry cannot be essential. The attitude on the learning and incentive might be more important factors for the completion of the courses of organic chemistry and physical chemistry.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