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문제중심학습의 실행 및 평가
The Practice and Evalu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한국의학교육학회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제11권 제2호
-
1999.11285 - 295 (11 pages)
- 55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서는 1996년부터 문제중심학습을 시범적으로 시행하여 오다가 1998년 처음으로 0.5학점을 부과하며 정규과목으로 편성하여 시행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의 대상자는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3학년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간은 1998년 8월 17일부터 2주간의 기간동안 진행되었다. 학생들에 관한 평가는 두 사람의 지도교수가 동시에 매 증례토의 시간마다 평가하여 이를 합산토록 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이나 증례에 대한 평가는 학생들과 지도교수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평가되었다. 문제중심학습 증례토의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로서 구체적 학습 기술의 향상보다는 학습태도나 자율성 등의 측면에서 더욱 좋은 반응을 나타내었다 (Fisher s Exact test, p<0.01). 또한 지도교수의 역할에 관해서는 과반수이상이 지시작인 역할 보다는 보완적, 지지적인 역할만을 담당해주길 원하였다. 문제중심학습 성적에 따라 설문조사를 비교하여 본바, 문제중심학습 성적상위집단에서 반응이 좋았으나 (Fisher s Exact test, p<0.01), 그러나 내과학 성적에 따른 상하위 그룹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문제중심학습 성적과 기존의 학습방법에 의한 내과학 성적과 상관성을 살펴보았으나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이 거부적이지 않으며 또한 적어도 일부의 학생들에게는 기존의 강의식 학습방법보다 더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학습방법에 대한 보완, 자율학습 태도 고취, 정보검색 및 활용능력의 강화 등의 측면에서 문제중심학습의 도입은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생각되며, 그러나 이러한 잇점을 살리기엔 2주간은 불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문제중심학습의 도입이 부분적일 수 밖에 없는 현실이라면 문제중심학습의 효과를 짧은 시간내에 극대화시키기 위하여서는 학습기간을 8~10주이상으로 늘리거나 문제중심학습 전후의 PBL 준비단계와 PBL완결단계의 도입이 그 해결책이 아닌가 생각된다.
Problem-based learning(PBL), introduced to medical education committee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1996, was firstly implemented as a regular course of medical education only with 0.5 credit in 1998. Tutorials of the PBL course were assigned to seven discussion groups consisted of seven or eight junior students during first two weeks of third quarter. Every groups were supervised by two tutors, who evaluated students performances in terms of problem-solving, stating problems, and presenting referred sources. The aptitude for PBL course was asked to students and tutors after two weeks course by means of questionnaires. Most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PBL course, and preferred the tutors in a supportive or facilitative attitude. However, two weeks of PBL course seemed not enough for maximal educational benefits. Pre- and post-PBL blocks may be one of the useful methods that ensure successful results of short-term PBL course.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