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윤리 교과목에 대한 평가와 개선을 위한 의견조사
A Survey of Students Opinions on Evaluation and Refinement the New Teaching Program Of Medical Ethics
- 전기홍(Ki Hong Chun) 송미숙(Mi Sook Song)
- 한국의학교육학회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제9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1997.11
- 129 - 137 (9 pages)
본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새로운 교과과정에 의한 의료윤리 교과목에 대해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구체적인 평가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의료상황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제시된 의료윤리 문제를 다룬 사례에 대해서 적절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약 24명으로 전체 학생의 66.4%이었으며, 부분적으로 적절하였다고 응답한 학생은 7명(19.2%), 그리고 적절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5명(14.4%)이었다. (2) 부적절한 이유로는 주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학생으로서 쉽게 이해할 수 없어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너무 극단적인 사례들이어서 윤리문제를 생각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해당 주제의 윤리문제와 일치하지 않은 사례이기 때문이라는 순으로 응답하였다. (3) 각 주제별 사례에 대해서 학생들이 느끼는 현실감에 대해서 나에게 곧 닥칠 심각한 윤리문제이다(79.2%), 설마 저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하는 의심이 든다(9.0%), 나에게 일어날 수 없는 문제들이라는 생각에 실감이 나질 않았다(7.2%), 일부 몰지각한 의사들이나 경험할 윤리문제라고 생각한다(4.6%) 의 순으로 응답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이 의사가 된 후에 자신들이 경험하게 될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첫째, 피상적으로만 이해하였던 의료계 상황을 현실감있게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의사로서의 지켜야 하는 직업윤리를 알게 되었다. 셋째,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연습하게 되었다는 평가로 요약된다. 그렇지만 좀 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1) 우리나라 의료윤리 문제를 보다 더 실감할 수 있는 사례가 제시되어야 하고 아울러 의료윤리 문제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체험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2) 의료인들만의 입장이 아닌 제 3자의 입장과 시각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강의자를 선정할 때 한 사람으로 제한하지 말고 적어도 두 사람 이상, 그리고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을 수업에 참여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3)자유스러운 토론과 발표가 가능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교육환경을 개선하여야 한다.
This survey was performed for evaluating and refining the new teaching program for medical ethics which was developed by faculities in Ajou university. Most of the students showed interest and satisfactions as well as con fidences in ethical judgement through the new course of medical ethics. Specific evaluation was as follows; Most of cases in discussion and debates were appropriate for understanding of medical ethical issues. They expressed that they learned how to collaborate in group, accept different opinions and views, build a sense of sharing community and work with an indivisual resposibility. Several ideas for improving medical ethics cirricula were suggested that some cases should be replaced to realistic cases, more clinicians from relevant departments should be involved in discuss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to discuss and debate easily.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