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지는 대로 형태가 변하여 의식세계를 꾸밈없이 표현할 수 있는 점토를 가지고 유아가 어떻게 놀이를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아가 점토놀이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경기도 여주군에 있는 O초등학교병설유치원 방과후반 만 3세(여아 2명), 만 4세(남아 2명), 만 5세(남아 1명, 여아 1명) 유아 6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2년 4월 6일(금)~6월 18일(월)까지 13주 동안 주 1~2회씩 총 16회의 점토놀이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정된 점토의 종류는 찰흙, 지점토, 밀가루 점토, 아이클레이이며, 유아 6명이 소집단으로 참여하였으며, 유아의 흥미와 반응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의 신뢰성과 자료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측정법(Merriam, 1994)에 의하여 녹화자료 전사와 유아의 놀이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 유아의 점토놀이 결과물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자료의 조직화, 영역분석, 자료 분류 및 분석, 분석 결과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점토놀이 과정에서의 경험은 「점토에 대한 낯설음과 선호도」,「점토를 다양하게 탐색하기」,「실패의 경험과 다시 시도하기」 「점토놀이의 즐거움 느끼기」,「부정적인 감정 드러내기」,「점토놀이하며 또래와 상호작용하기」로 나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 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laying with clay by deeply analyzing how young children can plainly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by turning, shaping, and touching clay.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6 from Full-day class of a kindergarten annexed to O elementary school in Yeoju-gun Gyeonggi-do with age 3 (2 girls), age 3 (2 boys) and age 5 (1 boy and 1 girl). The research was taken in 16 sessions for 13 weeks with once or twice per week from April 6 (Fri.) to Jun. 18 (Mon.) 2012. For this study, the selected clay included clay, paper clay, powder clay and color clay. The 6 children attended as a small group and tests were carried out flexibly according to interests and reaction of them. The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various methods including recording resource, children’s pictures of playing, researcher’s observation diary, output of clay play by means of Triangle Measurement Method (Merriam, 1994) in order to enhance validity. The collected data had undergone processes such as data organization, scope analysis, data classification an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re as follows: Young children’ experience from clay playing can be divided into「Strangeness and preference on clay」,「Explore clay in various ways」,「Failure experience and try again」,「Feel joy of clay play」,「Express negative feeling」,「Interaction with peers while playing clay」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