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Perceived by Teacher and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19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교사-유아 관계와 사회적 유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며, 교사-유아 관계의 각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왕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63명이었다. 그 결과, 첫째, 교사가 교사-유아 관계에 대하여 비교적 원만하고, 긍정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교사의 갈등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하위 구성요인 정서 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 모두에서 갈등 수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친밀감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하위구성요인 정서 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 모두에서 친밀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교사-유아 관계에서 교사의 의존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하위 구성요인 정서성, 사회적 규범 이해에서 의존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at teachers perceived and the children s social competences appeared and to examine the children s social competences according to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5 infants aged 5 (boys 80, girls 83), attending in the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Uiwang-city in Kyeonggii-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s satisfactory and positive and that perception was different by children s gender. Second, Girls s social competency was higher than boys and this gender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eacher s perception level of conflict i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found as significant in all four sub-factors of the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emotion regulation (p< .001), emotionality (p< .001), peer-relationship skill (p< .001), and social rule comprehension (p< .001).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eacher s perception level of closeness i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found as significant in all four sub-factors of the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emotion regulation (p< .01), emotionality (p< .05), peer-relationship skill (p< .001), and social rule comprehension (p< .001).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eacher s perception level of dependency in the teacher-children relationship was found as significant in two sub-factors of the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emotionality (p< .001), and social rule comprehension (p< .05).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