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 치료를 받지 않은 측두하악관절원반변위가 있는 여성 환자의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안모 및 치열 변화 연구
Dentofacial changes of non-orthodontically treated female patients with TMJ disk displacement: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40권 제6호
-
2010.12398 - 410 (13 pages)
- 0
관절원반변위가 있는 여자 환자 중 초진 시와 일정 시간이 지난 기간 동안 교정 치료를 비롯한 교합에 변화를 줄 만한 치료를 받지 않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두 시기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골격 및 치성 변화를 관찰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1996년 1월부터 2006년 12월 사이에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여자 환자 중 MRI를 촬영하여 관절원반변위가 있는 환자를 선별하였으며, 총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초진(T1) 시의 환자의 평균 연령(표준편차)은 18.1세(3.5세)이며 연령의 범위는 14.2 - 25.8세이고, 재진(T2)시 평균 연령(표준편차)은 21.1세(3.5세)이며 연령의 범위는 16.2 - 28.0세였다. 또한 평균 관찰 기간(표준편차)은 3.0년(1.9년)이었고 범위는 7개월부터 6.7년이었다. 초진(T1), 재진(T2) 시와 두 기간 사이 변화량에 대한 각 변수의 기술 통계량을 계산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MRI로 관절원반변위를 진단받은 환자 중 교정치료나 악관절 치료 등 교합에 변화를 줄 만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의 약 64%에서 하악골의 골격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L1 to Mandibular plane은 0.8 mm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 < 0.01). 그러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치성 계측 항목인 전치돌출도, 전치피개도 및 U1 to Palatal plane (mm)의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 변화의 방향은 주로 하악의 후하방회전이었고, 그 비율은 FMA가 1<SUP>o </SUP>증가 시 SNB는 약 0.43<SUP>o</SUP> 감소하는 정도였다 (Spearman s rho = −0.660, p < 0.01). 일부 환자들은 수평적인 하악골의 후방 양상 이동을 보이기도 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dentofacial morphology of non-orthodontically treated female patients with TMJ disk displacement.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25 Korean female patients with bilateral TMJ disk displacement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1996 to 2006. Disk displacements were diagnosed using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both TMJs. Baseline (T1) and follow-up (T2)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The mean age of samples at T1 was 18.1 ± 3.5 years (range 14.2 - 25.8 years) and at T2, 21.1 ± 3.5 years (range 16.2 - 28.0 years). The mean observation period was 3.0 ± 1.9 years.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at baseline (T1) and follow-up (T2) stages, an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2-T1). Results: Skeletal changes were found in 64% of the non-orthodontically treated female patients with TMJ disk displacement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L1 to Mandibular plane distance (mm) increased significantly by 0.8 mm (p < 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dental relationship variables (overjet, overbite, U1 to palatal plan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Most patients with skeletal changes showed a back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The ratio of the rotation was a decrease of SNB by 0.43<SUP>o</SUP> for every 1<SUP>o </SUP>increase of FMA (Spearman rho = −0.660, p < 0.01). A few patients showed a distal shift of the mandible without rotation or significant changes in the vertical dimension. Conclusions: During observation periods without orthodontic treatment, non-growing patients with TMJ disk displacement showed dentoskeletal changes, mainly backward rotation of the mandibl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