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NiTi scissors-bite corrector의 와이어 굵기에 따른 3차원적 치아 이동 양상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sizes of NiTi wire on NiTi scissors-bite corrector

  • 8

본 연구에서는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세 가지 서로 다른 굵기 0.018″ × 0.025″, 0.016″ × 0.022″, 0.016″의 NiTi 와이어로 제작하였을 때 각각의 치아 이동 양상을 치아 이동 시뮬레이션 장치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위교합에 이환된 상악 제2대구치 모형을 제작하고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orthodontic mini-implant)를 식립하여 제1대구치에 간접골성고정원을 설계하였다. 세 가지 굵기의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부착하여 실험하였다. 치아의 이동 전후에 실험 모형은 computed tomography (CT)로 촬영하고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첩하였다. 치아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여, NiTi scissors- bite corrector 와이어 굵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제2대구치 치관의 설측 이동량은 0.018″ × 0.025″군(2.65 mm)이 가장 많았으며, 0.016″군(1.96 mm)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 제2대구치 치관의 압하량은 0.018″ × 0.025″군(2.35 mm), 0.016″ × 0.022″군(1.18 mm), 0.016″군(1.00 mm)으로 0.018″ × 0.025″군이 나머지 두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5), 치근의 압하량은 0.018″ × 0.025″ 군(4.19 mm), 0.016″ × 0.022″군(3.29 mm), 0.016″군(2.24 mm)으로 세 군 간 모두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p < 0.05). 치아의 이동 양상을 관찰한 결과, 0.016″군에서는 제2대구치 치근의 협측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접골성고 정원으로 사용된 제1대구치의 고정원 소실은 0.2 mm 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0.018″ × 0.025″ NiTi 와이어로 제작한 NiTi scissors-bite corrector를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를 이용한 간접골성고정원과 함께 이용하였을 때, 최소한의 고정원의 소실과 함께 가장 큰 상악 제2대구치의 설측 이동 및 압하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ree dimensional tooth movement using three different wire sizes (0.018 × 0.025-in, 0.016 × 0.022-in, 0.016-in) on a NiTi scissors-bite corrector.<br> Methods: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f the experimental model before and after tooth movement were taken and reconstructed into three dimensional models for superimposition. The direction and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were measu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br> Results: The lingual and intrusive movements of the crown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were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NiTi wire increased. The roots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s moved buccally except for the 0.016-in group. The intrusive movement of the roots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s was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NiTi wire increased. Due to the use of orthodontic mini-implants, anchorage loss was under 0.2 mm on average.<br> Conclusions: The 0.018 × 0.025-in NiTi wire was most effective in lingual and intrusive movement of the maxillary second molar which was in scissors-bite position. Indirect skeletal anchorage with a single orthodontic mini-implant was rigid enough to prevent anchorage los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