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조골 상실에 따른 상악 치아군 저항중심의 변화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element analysis of the shift in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dentition in relation to alveolar bone loss
- 대한치과교정학회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제39권 제5호
- : SCOPUS, SCIE, KCI등재
- 2009.10
- 278 - 288 (11 pages)
효과적인 교정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치열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상악 치열군(4전치, 6전치, 14치아)에서 치조골 손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주인대 및 0 mm, 2 mm, 4 mm 손실된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4전치, 6전치, 14치아)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호선 및 splint wire로 고정하여 치아군 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 중점에서 연장된 splint wire에 4전치와 6전치군에는 200 g, 14치아군에는 400 g의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적용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수평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4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의 수직 위치는 치조골 0 mm, 2 mm, 4 mm 손실에 따라 중절치의 절단연에서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 mm, 수평 위치는 후방 12 mm, 12 mm, 12.5 mm, 6전치군에서는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5 mm, 후방 14 mm, 14 mm, 14.5 mm, 14치아군에서는 치근방향 11 mm, 13 mm, 14.5 mm, 후방 26.5 mm, 27 mm, 25.5 mm에 위치하였다. 모든 치아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치근첨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나, 치조정과의 거리는 가까워졌고, 4전치군과 6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14치아군에서는 치조골 2 mm 손실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4 mm 손실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teeth in relation to alveolar bone loss. Methods: A finite element model, which included the upper dentition and periodontal liga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one loss (0 mm, 2 mm, 4 mm). The teeth in each group were fixed with buccal and lingual arch wires and splint wires. Retraction and intrusion forces of 200 g for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and 400 g for the full dentition group were applied. Results: The centers of resistance were at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2 mm, 12 mm, 12.5 mm posterior in the 4 incisor group;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4 mm, 14 mm, 14.5 mm posterior in the 6 anterior teeth group; and 11 mm, 13 mm, 14.5 mm apical and 26.5 mm, 27 mm, 25.5 mm posterio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respectively according to 0 mm, 2 mm, 4 mm bone loss. Conclusions: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posteriorly as alveolar bone loss increased in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Howeve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anteriorly in the 4 mm bone loss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