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사춘기전 I, II급 부정교합 아동의 기도 면적, 혀의 위치와 안면 형태에 관한 연구

Effect of airway and tongue in facial morphology of prepubertal Class I, II children

  • 11

본 연구는 사춘기 성장 이전의 I, II급 부정교합을 갖는 아동 환자들의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두개안면 형태를 조사하고 이들과 혀의 위치 및 면적, 기도의 면적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비인두 기도 및 혀의 형태가 악골 및 부정 교합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9 - 11세의 교정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상 ANB difference를 기준으로 대조군(I급 부정교합군: 0 &#8804; ANB difference < 4.0)과 실험군(II급 부정교합군: ANB difference &#8805; 4.0)으로 분류하였다. 혀 면적, 혀와 구개 사이의 면적, 비인두 기도 면적과 두개안면형태 항목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혀 면적,혀와 구개 사이의 면적, 비인두 기도 면적은 II급 부정교합 군과I급 부정교합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Hyperdivergent 안면 형태일수록 비인두 기도 면적이 좁았다.안모의 전후방 수직 길이가 길수록 혀의 면적이 넓었고,전안면 고경이 길수록 혀는 하방위치 하였다. 비인두 기도 면적이 좁을수록 혀의 면적도 좁아졌다.이상의 연구 결과 혀의 면적과 위치,비인두 기도의 면적은 I급, II급 부정교합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hyperdivergent 안면 형태 및 안모의 전후방 수직 길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raniofacial morphology of young patients in their prepubertal stage showing class I, II malocclusion, by analyzing lateral cephalograms, and analyzed its relationship with tongue position, tongue space, and airway space in order to ascertain the effects of nasopharyngeal airway and tongue morphology on the form of the malocclusion.<br> Methods: Seventy-six patients aging from 9 to 11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ANB difference on the lateral cephalogram: Experimental group (Cl II malocclusion group) showing 0 ANB difference < 4.0; Control group ≤ (Cl I malocclusion group) showing 0 ≤ ANB difference < 4.0. The tongue space, space between palate and tongue, nasopharyngeal airway spac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br> Results: Tongue space, palate-tongue space, nasopharyngeal airway spa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ass I and class II malocclusion groups. Hyperdivergent faces were associated with smaller nasopharyngeal airway space. Longer anterior facial height and posterior facial height were associated with larger tongue space, and greater anterior facial height were associated with lower tongue position. Smaller nasopharyngeal airway space showed smaller tongue space.<br> Conclusions: Tongue space and nasopharyngeal airway spa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ass I malocclusion group and class II malocclusion group. Only anterior facial height and posterior facial height had an influence on tongue space and nasopharyngeal airway space.

로딩중